교육
조선-대한제국기 왕실제사 살펴보기
조선-대한제국기 왕실제사 조선의 제사는 조선의 개국과 동시에 새롭게 모색된 것이 아니라 고려의 유교식 제사와 풍속 그리고 13세기 이래 원으로부터 전해진 성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13세기 몽고군의 침략결과 고려는 원간섭기에 진입하면서 원으로부터 성리학이 전해졌다.125) 고려말기 새로운 사회계층으로 성장한 신진사대부는 유교 질서에 따라 국가체제에서 그들이 왕과 함께 독립적이고 주체적 위상을 갖는 것이 정당한 국가질서론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은 송대 주자학으로 그 이학체계를 확립했던 송대 학자들이 정치 ․ 사회에서 자신들의 입지를 위해 만들어낸 질서론으로 家禮의 논리체계를 세웠던 것과 일치한다. 송대 오례의 영향을 받아 조선은 개국과 함께 국가의 구성요원으로서 서민을 포함하여 사대부의 위상을..
2020. 8. 28. 07:00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