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노년기 삶의 만족도 요인
삶의 만족도가 개인의 삶의 전반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개념인 만큼, 삶의 만족도와 관련 있는 요인들 역시 매우 포괄적이며 다양하다. 그러나 삶의 만족도와 관련 있는 요인들이 모든 맥락에서 동일한 것은 아니며, 생애주기 및 문화에 따라 각기 다른 요인들에 영향을 받게 된다(Fagerström et al., 2007; Siedlecki, Tucker-Drob, Oishi, & Salthouse, 2008).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삶의 질과 관련한 총 89편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삶의 질과 관련 있는 요인들에 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신성일과 김영희(2013)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삶의 질과 관련 있는 특성들을 인구사회학적 영역, 신체생리적 영역, 심리적 영역, 가족관계 영역, 사회환경 영역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는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영역들이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에서 인구사회학적 영역에는 성별, 연령, 학력, 경제적 만족, 종교가 포함되며, 신체생리적 영역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포함되었다.
또한 심리적 영역에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적지지, 스트레스, 우울, 불안, 분노가 포함되었으며, 가족관계 영역에는 가족관계, 부부관계, 가족지지, 자녀와의 친밀감, 가족과의 교류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환경 영역에는 사회활동 참여,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의료서비스, 사회적지지, 친구 및 이웃지지, 여가참여가 포함되었다.
한편 국내에서 수행된 삶의 만족도 관련 연구 중 중년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매우 드물었는데, 이성규(2014)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집한 전국단위의 ‘중년층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자료(2010년)’를 통해 중년기에 해당하는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와 관련 있는 요인들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여성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와는 배우자부모부양부담, 자녀와의 관계만족도, 부부관계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10년 후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기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도와는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부부관계만족도, 10년 후 경제생활수준에 대한 기대, 인터넷 사용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은 주로 개인을 단위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부부인 남편과 아내 둘 모두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부부단위의 분석을 실시한 연구 역시 매우 드물었다. 국내 중노년기의 삶의 만족도 관련 선행연구들 중 부부인 남편과 아내 모두를 동시에 포함한 연구는 주수산나와 전혜정(2014)의 연구가 유일하다. 이들은 노인부부가구에 속한 노인 부부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에 관해 연구하였는데, 배우자의 삶의 만족도가 노년기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있어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가장 큰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더불어 남편의 삶의 만족도에는 남편 본인의 노동여부, 부부관계만족도, 사회참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삶의 만족도에는 아내 본인의 부부관계만족도와 사회참여 그리고 배우자의 만성질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서 연령, 교육수준, 노동여부, 가구소득을, 신체생리적 특성으로서 만성질환 수를, 가족관계 특성으로서 부부관계만족도를, 사회환경 특성으로서 친구·이웃과의 만남빈도를 삶의 만족도에 대한 통제변수로서 모형에 포함하고자 한다.
그러나 심리적 측면은 본 연구에서 통제변수로 분석모형에 포함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삶의 만족도 그 자체가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영역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Neugarten et al., 1961). 또한 선행연구들에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 특성들은 삶의 만족도와 대등한 요소로 다루어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성혜영·조희선, 2005), 분석 모형에 통제변수로서 포함하지 않았다.
2020/08/12 - [교육] - 중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정의 및 특성
주수산나.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의 성장 요인 및 혁신 전략 살펴보기 (0) | 2020.08.15 |
---|---|
알아두면 유용한 OTT 서비스 정의 및 특징 (0) | 2020.08.15 |
중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정의 및 특성 (0) | 2020.08.12 |
아동에게 알맞는 미술치료적 접근방법 5가지 (0) | 2020.08.12 |
아동 미술 치료 대표적인 학자들의 견해 (0) | 2020.08.10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