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노년기 삶의 만족도

삶의 만족도(life satisfaction)는 문헌들에서 삶의 질(quality of life), 안녕감(well-being),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과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삶의 질과 안녕감은 대체가능한 용어로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삶의 질과 안녕감을 구분할 것을 제안하는 학자도 있다. Smith(as cited in Theofilou, 2013)에 따르면 안녕감은 객관적인 삶의 환경들을 지칭하는 반면, 삶의 질은 개인의 주관적인 측면에 좀 더 국한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삶의 질과 안녕감 둘 모두 객관적인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전제하기에 이 둘 사이의 구분은 사라졌다고 볼 수있다(Theofilou, 2013). 


중노년기 삶의 만족도



일반적으로 삶의 질은 개인의 현재 상태에 관한 자기인식(self-perceptions)을 강조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이며(Bonomi, Patrick, Bushnell, & Martin, 2000), 정서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을 모두 내포하는 개념이다(Theofilou, 2013). 삶의 질에 관한 정의와 측정에 관한 리뷰논문을 작성한 Theofilou(2013)에 따르면, 삶의 질은 1) 긍정적 정서(pleasant affect), 2) 부정적 정서(unpleasant affect), 3) 삶의 만족도(lifesatisfaction), 4) 영역별 만족도(domain satisfaction)와 같이 크게 네 가지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긍정적 정서에는 기쁨, 의기양양함, 만족감, 자부심, 애정, 행복감, 황홀감이, 부정적 정서에는 죄책감과 부끄러움, 슬픔, 불안과 걱정, 분노, 스트레스, 우울, 질투가 포함된다. 삶의 만족도에는 삶의 변화를 향한 열망, 현재의 삶에 관한 만족감, 과거에 관한 만족감, 미래에 관한 만족감이 포함되며, 영역별 만족도에는 일, 가족, 여가, 건강, 경제, 자기, 집단에 관한 각 특정 영역별 만족도들이 해당된다. 특히 심리학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삶의 질에 관한 주관적 평가를 의미한다(Pavot & Diener, 1993). 





구체적으로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삶의 환경에 관한 만족감, 개인의 삶에 대한 수용감, 개인의 삶을 위한 전체적인 욕구의 충족감을 내포한다(Theofilou, 2013). 또한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삶을 평가하고 판단한다는 측면에서 인지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특히 한 개인의 삶을 평가할 가장 적합한 주체는 본인 그 자신이라는 명제 하에서 삶의 만족도는 개인의 삶의 질과 성공적 노화를 대표하는 가장 의미있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어 왔다(Neugarten,Havighurst, & Tobin, 1961).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영역별 만족도와 상관성이 있으나 그 상관관계의 크기는 영역마다 다르며, 영역별 만족도의 중요도는 문화나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성을 가지므로(Yiengprugsawan et al., 2010),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영역별 만족도를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영역별 만족도와는 다르게 개인의 삶의 일부 영역이 아닌 전체적인 측면을 포괄하기 때문에 노년기 성공적 노화나 포괄적 의미의 건강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의미가 있다(Diener, 1984; Diener etal., 1985).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본인의 현재 삶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라고 정의내리고, 삶의 질을 대변하는 변수로 규정하고자 한다.


2020/08/09 - [교육] - 그린에너지 종류 2탄 - 해양, 폐기물, 지열, 수소 에너지

2020/08/09 - [교육] - 그린에너지 종류 1탄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에너지


주수산나. "중노년기 부부의 운동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